애드센스 미국 세금 정보는 무엇일까?
2021년 3월쯤 구글 애드센스에서는 "중요 : 추가 세금 정보를 제출해야 하는지 확인하세요. 지급 금액에 정확한 액수의 관련 세금이 부과될 수 있도록 모든 YouTube 크리에이터와 파트너는 세금 정보를 제출해야 합니다."라는 알림 메시지가 게시되었습니다.
이 당시만 해도 '유튜브 애드센스 광고 수익창출 사용자 혹은 유튜브 채널 개설 후 수익창출 진행 중인 운영자'들에 한해 알림이 나왔기 때문에 '콘텐츠용 애드센스 광고(블로그 애드센스)'만 이용하는 사용자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고 의견이 유저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했었습니다.
나중에는 콘텐츠용 애드센스 광고만 이용하는 블로그 애드센스 계정에도 동일한 알림이 뜨기 시작하면서 너도 나도 애드센스 미국 세금 정보를 등록하기 시작했습니다.
애드센스 미국 세금 정보 입력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애드센스 YouTube 고객센터 내용을 보면 "세금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 지급이 보류된 상태에서 20일이 지나 세금 정보를 입력하면 당월 지급 주기에는 지급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말은 세금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수익 지급에 문제가 생긴다는 내용으로 보입니다.
가장 강력한 경고는 지금부터 시작입니다. "세금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미국 소득의 최대 30%로 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금 정보를 제출하지 않으면 Google이 크리에이터 전 세계 총수입의 최대 24%를 공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내용인데 복잡해서 이게 무슨 말인가 싶지만 의외로 심플한 내용입니다.
※ 미국 세금 정보를 제출했을 경우
내가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나 블로그를 미국에서 접속해서 애드센스 수익이 발생했다면 그 수익의 30% 원천 징수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미국 세금 정보를 제출하지 않았을 경우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발생된 애드센스 전체 수익에서 24% 원천 징수한다는 뜻입니다.
위 내용만 보면 당장 미국 세금 정보를 제출해야 할 것 같은 마음이 생기지만 저런 경고에도 불구하고 2021년부터 지금까지 세금 정보를 등록하지 않고 버틴 분들이 꽤 많습니다. 그럼 그렇게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어떻게 됐을까요?
미국 세금 정보를 제출하지 않아도 애드센스 수익금 정상적으로 지급되었으며, 애드센스 전체 수익의 24% 원천 징수 또한 없습니다. 물론 이 내용은 콘텐츠용 애드센스 광고(소위 블로그 애드센스)를 이용하는 경우입니다. 유튜브 애드센스만 운영하시는 분들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미국 세금 정보 제출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이제부터 미국 세금 정보를 실제로 입력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 [지급 - 결제 정보]를 클릭합니다.
설정 탭에 있는 설정 관리를 클릭합니다.
결제 프로필 탭에 있는 미국 세금 정보 옆에 연필 모양을 누르고, 세금 정보 관리를 클릭합니다.
세금 정보 추가를 클릭합니다.
내용 읽어보시고 양식 시작을 클릭합니다.
구글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계좌 유형은 개인을 선택하고, 미국 시민이 아니요 선택, W-B 세금 유형 양식은 W-8BEN을 선택하고 W-8BEN 양식으로 이동을 클릭합니다.
1️⃣ 수익권자에 해당하는 개인의 이름 : 결제 프로필에 사용한 영문 이름을 동일하게 입력
2️⃣ DBA(상호) 또는 불안정 법인 : 공백
3️⃣ 시민권을 보유한 국가/지역 : 대한민국
4️⃣ 외국인 TIN : 공백
5️⃣ 미국 개인납세자식별번호(TIN) 또는 사회보장번호(SSN) : 공백
6️⃣ 다음 버튼 클릭
이 부분에서 결제 프로필 이름과 수익권자 이름이 일치하지 않으면 이름 불일치로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으니 결제 프로필 이름을 영문으로 미리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 추가 : 애드센스 10달러 이상 수익이 발생하게 되면 통신사 문자 본인 인증 절차가 시작됩니다. 이때 애드센스 가입 때 설정했던 결제 프로필 이름이 통신사 인증할 때 입력한 이름으로 변경되는데 이걸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미국 세금 등록 절차를 진행했습니다. 즉 결제 프로필 이름(한글) 수익권자 이름(영문) 상태로 일치하지 않았지만 정상적으로 세금 등록을 진행했습니다.
1️⃣ 체크하지 않음.
2️⃣ 거주 국가/지역 : 대한민국
3️⃣ 도/시 : 거주지 선택
4️⃣ 시/군/구 : 거주지 선택
5️⃣ 상세 주소 : 영문 주소 입력 (한글 주소 입력 불가)
6️⃣ 우편번호 : 우편번호 입력
7️⃣ 우편 주소가 영구 거주지 주소와 동일합니다에 체크
8️⃣ 다음 버튼 클릭
조세 조약은 아니요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미국에서 수행한 활동 및 서비스는 아니요 선택 후 네모 박스 체크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우편 수신 중지(권장)를 선택하고, "우편 수신 중지에 동의합니다."에 체크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생성된 세무 서류를 본인이 알고 있는 한도 내에서 검토했으며 서류가 진실되고 정확하며 완전함을 확인합니다."에 체크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진에 표시되어 있는 그대로 선택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미국 세금 정보가 승인되었습니다. 미국 세금 정보는 3년 후에 만료되고, 이후 다시 재등록을 해야 된다고 합니다.
절차가 완료되면 구글 계정으로 세금 정보가 승인되었다는 메일도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