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Bolg)

수익 손실 위험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을 연결하여 애드센스 승인을 받게 되면 애드센스 홈페이지 상단에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라는 경고 알림 창이 뜨게 됩니다.

 

※ 결론부터 언급하면 개인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절대 이 문제를 절대 해결할 수 없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접속해 보면 'ads.txt를 찾을 수 없음'으로 내용이 나오면서 "다음 코드를 복사하여 ads.txt 파일에 붙여 넣은 후 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업로드하세요."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문제 해결의 핵심인 '루트 도메인'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위 내용을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루트 도메인은 기본 주소 외에 앞뒤에 어떠한 문자도 포함하지 않은 도메인 주소를 말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티스토리 블로그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루트 도메인은 'tisotry.com'입니다. 현재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인 'dieolife.tistory.com'은 루트 도메인이 아닙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거는 루트도메인의 디렉터리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

 

 

 

ads.txt 파일 문제 해결 방법

티스토리 기본 주소에 대한 ads.txt 파일 문제는 이미 2021년에 해결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2차 도메인(개인 도메인)을 사용 중인 블로그 중 '루트도메인으로 티스토리에 등록한 블로그'도 해결 완료됐습니다." 이 내용이 다소 오해의 소지가 다분합니다.

 

기본적으로 내가 구입한 'abc.com'과 같은 형태의 도메인은 루트 도메인이 맞습니다. 하지만 내가 이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했을 때는 그저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인 주소가 아닌 내가 등록한 도메인 주소로 접속이 가능하게만 해줄 뿐 내가 루트도메인의 권한을 가지는 게 아닙니다. 그냥 심플하게 눈에 보이는 주소(URL) 이름만 변경하는 형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알아본 내용을 종합하면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하려면 루트 디렉터리에 접근해야 하는데 티스토리 사용자나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사용자 모두 접근 권한이 없습니다.

 

현재 포털에서 ads.txt 문제 해결 방법을 검색하면 티스토리 스킨에 파일을 업로드하여 해결 가능하다는 글이 심심치 않게 보이는데 거짓된 정보입니다. 어디선가 잘못된 정보를 보고 학습해서 그걸 답으로 알고 적은 것 같은데, 이런 분들 때문에 새로 시작하시는 분들이 잘못된 내용을 학습하고 있어서 그저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그럼 개인 도메인 사용자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그냥 ads.txt 알림 창이 나오는 상태로 운영하시면 됩니다. 사라지게 할 방법은 없습니다.

 

 

 

Ads.txt 가이드 - Google 애드센스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