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Bolg)

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법


구글 서치콘솔(Search Console)은 사이트의 검색 트래픽 및 실적을 측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Google 검색 결과에서 사이트를 돋보이게 할 수 있다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쉽게 구글 서치콘솔 내가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사이트)가 구글 검색 노출이 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라고 보시면 됩니다.

 

구글 서치콘솔은 예전에는 구글 웹마스터 도구라는 명칭을 사용했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는 방법에는 직접 가입하거나 티스토리에서 기본 제공되는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중 직접 가입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지 않으면? 

구글 서치콘솔 등록은 필수도 의무도 아닌 선택 사항으로 등록하지 않아도 구글 검색 노출에는 문제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등록하면 내가 운영 중인 티스토리 블로그 혹은 사이트가 구글에서 어떤 키워드로 어떻게 노출되고 있고, 구글 검색 노출에 문제가 생겼을 때 원인을 알려주는 등 검색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특별한 이유가 아니라면 서치콘솔 등록을 권장합니다.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 바로 가기 >>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에 접속하시고, 메인 화면 상단에 있는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글 서치콘솔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글에 로그인해야 이용 가능합니다.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구글 아이디라면 어떤 것이든 상관없지만 애드센스 계정과 연계하여 운영하기 편리하게 애드센스 계정 아이디 사용을 추천합니다.

 

 

 

도메인과 URL 접두어 두 칸이 있는데 티스토리 블로그는 URL 접두어에 주소를 입력하고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잠시 로딩 후에 소유권 확인 창이 열리게 되면 HTML 태그를 클릭합니다.

 

 

 

메타태그 옆에 있는 복사를 클릭합니다. 복사한 메타태그를 티스토리에 넣어야 하니 아직 확인 버튼을 누르지 말고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 열려 있는 창을 닫지 않습니다.

 

 

 

티스토리 관리 홈에서 [꾸미기 - 스킨편집]을 클릭합니다.

 

 

 

스킨 편집 창이 열리면 html 편집을 클릭합니다.

 

 

 

HTML 편집 창에서 <head></head> 안쪽에 복사한 메타태그를 붙여 넣기 해준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다시 구글 서치콘솔 HTML 태그 창으로 돌아와서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잠시 사이트 확인을 위한 로딩이 시작됩니다. 시간이 정말 조금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소유권 확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일단 여기까지 진행됐으면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콘솔 등록이 완료된 것입니다. 완료를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맵 및 RSS 등록

구글 서치콘솔 등록을 완료한 후에는 사이트맵과 RSS 등록을 진행해야 합니다. 사이트맵과 RSS에 관한 설명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등록할 때 알아봤으니 궁금하시면 해당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사이드 메뉴에서 Sitemaps를 클릭하면 사이트맵 등록 창이 열립니다.

 

 

 

새 사이트맵 추가 탭 빈칸에 rss를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 rss는 전부 소문자로 입력합니다. 대문자 입력 시 가져올 수 없음 상태로 등록되지 않습니다.

 

 

새 사이트맵 추가 빈칸에 sitemap.xml을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거의 입력과 동시에 RSS 제출이 완료되며,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다면 상태에 '성공'으로 표시됩니다. 혹시나 정상적으로 입력했는데도 '가져올  수 없음' 상태라면 몇 초 정도 지나고 난 후 사이트 새로고침 하면 성공으로 바뀌어 있을 것입니다.

 

 

 

RSS 등록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이번에는 sitemap.xml을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하시면 사이트맵 등록이 완료됩니다. 혹시나 실수로 잘못 적더라도 삭제하고 다시 등록하면 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sitemap.xml은 전부 소문자로 입력합니다.

 

 

 

참고로 티스토리 사이트맵(sitemap)은 티스토리에서 관리 홈에서 [관리 - 블로그] 메뉴에 접속하면 확인 가능하며, 사이트맵은 2020년 4월부터 티스토리 자체에서 자동 생성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예전처럼 개인이 직접 만들어서 작업하지 않아도 됩니다.